오픈스택 통신이 안될 때
1. 오픈스택을 설치한 OS(보통 우분투)에서 br-ex 장치가 활성화되어있어야하고 다음 명령어로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
sudo ifconfig : 인터페이스 확인
br-ex 장치가 있어야한다 없는 경우 다음 명령어로 직접 활성화해준다
sudo ifconfig br-ex up
2. br-ex 장치 IP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IP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 명령어로 설정해준다
sudo ifconfig br-ex [Floating IP] netmask [Floating IP의 Subnet Mask]
3. 오픈스택을 설치한 OS의 라우팅 테이블 목록에 있어야한다 다음 명령어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다
route -n : 라우팅 테이블 확인
라우팅 테이블에 아래의 내용이 없다면 수동으로 추가해준다
[Floating IP] 0.0.0.0 [Floating IP의 Subnet Mask] U 0 0 0 br-ex
sudo route add -net [Floating IP의 Network Mask] netmask [Floating IP의 Subnet Mask] dev br-ex : 라우팅 테이블 목록 추가
'IT > Cloud Compu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 컴퓨팅 : 오픈스택 멀티노드(Openstack Multi Node) (0) | 2018.11.08 |
---|---|
클라우드 컴퓨팅 : 오픈스택 Floating IP와 통신이 안될 때 (0) | 2018.11.08 |
클라우드 컴퓨팅 : 오픈스택 명령어로 보안 그룹 설정(ICMP 허용) (0) | 2018.11.08 |
클라우드 컴퓨팅 : 오픈스택 명령어로 Floating IP 생성 및 인스턴스와 연결 (0) | 2018.11.08 |
클라우드 컴퓨팅 : 오픈스택 명령어로 인스턴스 생성 및 삭제(Openstack Nova) (0) | 2018.11.08 |